저차원 탄소계양자점 적용 전고체용 고분자 고체전해질 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상 태 | 수행중 |
---|---|
지원기관 | (주)나노솔 |
연구기간 | 2025.03.12 - 2026.02.28 |
□ 연구개발의 추진배경 및 필요성
기존의 반도체 양자점 디스플레이 기술은 독성물질 규제 및 전사프린팅에 의한 양자점 디스플레이 양산 기술의 부재로 상용화 단계로 진입하지 못하는 실정임.
현재까지 개발된 저차원 탄소나노재료 기반의 디스플레이 기술은 아직 기존의 반도체 양자점 디스플레이의 성능에 못미치며, 재료 자체의 광특성 향상 및 발광소자로서의 체계적인 적용성 평가가 필요함.
□ 기술적 중요성
반도체 기술,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등의 접목으로 통신, 전자기기들의 휴대성이 높아지고 소형화됨에 따라 전자정보기기와 인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얇고 가벼우며 필요에 따라 접거나 말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실리콘 기반 소자는 속도의 한계와 편의성의 문제로 인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성을 갖추지 못하여 새로운 물질을 기반으로 휴대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소자 개발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향후 전자 및 소재산업이 종래의 딱딱한(rigid) 재료 및 제품 위주에서 보다 더 인간 친화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이고 집단적이며 보다 더 집중된 형태의 연구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 사회·경제적 중요성
인간 친화형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나노소자는 20세기 중반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전자제품 시대를 주도해온 딱딱한(rigid) 전자기술을 대체하여 보다 더 긴밀한 인간과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핵심 기술로서, 향후 IT 산업뿐만 아니라 IT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융복합 기술 및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며 국가 경제 및 국내 소재산업의 성장을 위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할 핵심 미래기술이다. 그래핀 등 저차원 소재는 사실상 이러한 유연성 소자에 있어 어떠한 소재보다도 폭 넓게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소재로 특히 2008년 MIT에서 선정한 세계 100대 미래기술 및 삼성경제연구소가 선정한 10년 이내에 우리의 삶을 바꿀 10대 기술로 선정된 바 있으며 그래핀 관련 연구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며 관련 산업화가 촉진되고 있다.

총 연구비 : 50,000,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