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메뉴 닫기 닫기

Task

민간출연과제

수행과제 > 민간출연과제

고분산 고품질 탄소계양자점 적용 전자파 차폐용 잉크 기술 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상        태 수행중
지원기관 (주)나노솔
연구기간 2025.03.12 - 2026.02.28

 연구개발의 추진배경 및 필요성

본 과제에서는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be; CNT), 흑연 나노판 (Graphtit Nanoplate) 등과 같은 탄소나노소재와 탄소나노소재의 융합화한 탄소나노소재와 유연한 고분자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면상 발열소재를 제조하고 이를 자동차 워머에 응용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발열 기술은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발열하도록 일반적으로 금속제인 고정 저항값을 갖는 전열선 (니크롬선) 발열체를 이용한 선상 및 면상 발열체 기술로, 기존 발열 기술은 고장 시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 금속성분의 이격 등으로 발생하는 전기적 단락, 습기 취약점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소비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 선상발열체 대비 면상발열체의 경우 빠른 온도 조절이 용이하며, 고른 발열이 발생하므로 발열효과가 높고 안전한 발열체이며, 우수한 열확산 및 발산 특성으로 인해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 기술적, 경제적/산업적, 사회적 성과

기술적 측면

-.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튜브/흑연나노판을 동시 제조, 분산 및 복합화는 원천기술 확보 및 1차원 및 2차원의 차원 융합 탄소소재의 면상발열체 제조에 관해서도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기술 선점이 가능하다.

-. 탄소나노튜브 및 차원 융합된 탄소소재의 공정 제어를 통한 능동적 면상발열체 기술 개발 및 테스트 방법 구축을 통한 제품의 안정성, 신뢰성 및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 산학 협업에 의한 제품화 기술 확보 및 타 분야 기술 접목에 의한 새로운 기능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확장성이 가능하다.

-.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튜브/흑연나노판 적용 발열 소재 제조 기술 확보. 특수 기능성 나노소재인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처리 기술과 이를 적용한 고분자 복합소재 Recipe 제조기술을 확보함으로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며 나노 기술에 대해 앞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다.

경제적/산업적 측면

-. 금속성 제작방법으로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작업효율성 및 비용 증가부분을 개선하고 one-stop 방식으로 전화되어 생산성 향상을 기여할 수 있다.

-. 기술개발에 따른 고용창출은 연구 인력과 생산 인력 증가를 통해 고용 창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산업 연계 개발에 의한 지역 중소기업의 활성화와 신산업 창출이 공용창출로 이어져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면상발열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제품 개발로 국내외 산업계의 경쟁력 강화 및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이 가능하다. 현재 면상발열체의 주 소재는 수입소재(일본, 미국 등)이며, 이를 국산화하여 수입 대체 효과가 있다.

-. 지역 중소기업의 매출 증대를 통해 연구개발 활동 및 인력 수급의 선순환 구조를 정립하고 새로운 수요 발굴을 통해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 우리나라는 총 에너지의 95.8%(2015)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국가 총 수입액의 33.1%(2014)가 에너지 수입액이며 68%가량의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경우 수입의존도도가 매우 높아 가격변동에 따른 부담이 된다. 기존 면상발열체 보다 높은 전기효율을 가진 면상발열체는 전기 사용량을 감소시켜 소비를 줄이고 부담을 덜 수 있다.

-. 중국, 러시아 및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및 북동부 유럽의 관심도가 매우 높아, 지속적인 건축용, 농업용 탄소발열체의 생산량 계획의 전망을 높이고 있어 해외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

-. CNT-고분자 복합소재는 분산의 어려움으로 연구 개발 단계로 샘플 형태의 제품만 출시가 되고, 가격 생산성, 기존대비 차별성의 부족 등으로 상업화가 유보가 되는 상태이나 당사의 분산기술을 이용한 CNT-고분자 복합소재 면상발열체는 산업화 이루는데 앞 서 나갈 수 있다.


04866a0206be1953b8eeab1c0453eb70_1757902472_6726.png
 

총 연구비 : 50,000,000 원